암 폐결핵 허약체질에 효험

동충하초는 가을에 숲 속의 낙엽 속 또는 땅 속의 곤충,특히 나비목의 유충, 성충, 번데기에 침입하여 기생한다. 눈꽃 동충하초, 흑색다발 동충하초, 균핵 동충하초, 번데기 동충하초, 매미 동충하초 등이 있다.

분포는 한국, 일본, 중국 등 전 세계에 분포한다 . 동충하초가 중국의 스포츠선수들이 음용하고 효과를 보았다고 하여 널리 전해졌다. 한국에서도 최근 인공 배양에 성공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.

번데기 동충하초는 맛이 달고 평하다. 폐를 보하고 신을 보한다 . 정수를 보하고 지혈하며 면역 기능을 강화시킨다. 빈혈, 허약, 폐결핵을 치료한다.

눈꽃 동충하초는 한국에서 잠사 곤충연구소에서 누에를 이용한 인공배양에 성공하였다 . 생약명은 설화 동충하초이다 . 두부 표면에 마치 흰눈꽃이 핀것처럼 분말상의 백색 분생포자로 덮여있다 . 복수암에 사용되기도 한다.

균핵 동충하초는 자궁출혈,생리불순에 사용한다 . 여름부터 가을까지 소나무나 너도밤나무 밑 땅속에 발생한 균류에 붙어서 자란다. 즉 버섯에 기생하여 자라는 동충하초이다.

매미 동충하초는 해열, 해독, 진통, 진경, 진정, 심계항진, 인후옹종, 눈이 어두운데, 항 말라리아, 혈당 강하작용, 식욕증진에 효과를 발휘한다.

중국에서 펴낸〈본초도감〉에서는 동충하초에 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.

“동충하초 (冬蟲夏草)의 기원은 맥각균과 (麥角菌科: Clavisipitaceae) 진균인 동충하초 (冬蟲夏草: Cordyceps Sinesis Secs.) 자좌 (子座) 및 기주 (寄主) 인 건조충체 (乾燥蟲體) 이다.

형태는 자좌 (子座) 는 단생하며 봉구곤상 (樑球桓狀) 과 같이 가늘고 길며 전체길이는 4-11 센티미터이고, 두부는는 약간 팽대해서 좁은 타원형을 보이고 자루부분과 길이가 거의 같거나 약간 짧으며, 표면은 질은 황색이고 백색이며, 자루의 기부는 땅속에 묻허 있으면서 유충의 두부와 서로 연결된다. 유충은 진한 황색이며 가늘고 긴 원주상(圓柱狀)이고 길이는 3〜5센티미터이며 20〜30개의 환절 (環節) 이 있고, 복면 (腹面) 에는 8쌍의 다리가 있고 형태는 누에와 비슷하다.

분포는 높고 추운 산지 초원, 강의 골짜기, 수풀 속에서 자란다. 중국의 사천, 운남, 서장, 청해 및 감숙 등 지에 분포한다. 채취 시기는 6-7 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. 성분은 cardycepic acid, C7H1206, 1.3. 4.5 – Tetrahydrocyclocarproic acid 약 70% 및 protein 약 8.4%를 함유. Cordycepic acid 실험 증명 보도에 의하면 D-manintol도 함유한다.

맛은 달고 따뜻하다. 효능은 자폐보신(氣肺補腎)하며 주된 치료는 폐결핵, 해수, 객혈, 허천, 도한, 유정, 요슬산통을 치료한다. 사용량은 5〜1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.”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